최근 SKT 유심 정보 해킹 사건이 발생하며 많은 분들이 개인정보 유출과 금융 피해에 대한 우려를 갖고 계십니다. 유심 해킹은 단순한 보안 사고를 넘어, 우리의 일상과 자산에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SKT 유심 해킹의 실체, 예방 및 대응 방법, 그리고 KT, LG U+ 사용자들도 주의해야 할 사항, 한국고용정보 해킹 사건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유심 해킹, 금융 계좌까지 털릴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유심 해킹만으로 금융 계좌가 털리기는 어렵습니다.
이번 사건은 공인인증서 자체가 해킹된 것이 아니라, 서버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유심 고유번호(ICCID)가 유출된 것으로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즉, 실제 휴대폰 안의 유심이 직접 해킹당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유출된 유심 정보로 복제폰을 만들거나 새로 개통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인 인증 문자(MMS/SMS)를 가로채는 정도의 피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융앱을 실행해 돈을 인출하려면:
- 본인 인증용 비밀번호
- 공인인증서
- OTP 또는 보안카드 정보
이런 정보가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 유심 정보 유출만으로는 직접적인 금융 피해로 이어지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해커가 여러 정보를 조합해 공격한다면 위험은 충분히 존재합니다.
지금 SKT 유심 구하기 어려운 상황
현재 SKT 대리점에서는 유심 재고가 부족합니다.
전국 유심 재고가 약 100만 개 수준으로, SKT 사용자가 약 2천만 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부족한 수치입니다.
SKT 유심 해킹 대응 방법 총정리
1. 온라인으로 유심 교체 예약하기
- care.tworld.co.kr 에 접속 → 유심 무료 교체 예약
- 가까운 매장 선택 후 예약
- 안내 문자 받은 후 매장 방문 → 유심 교체
- 대리점에서 대기 시간과 헛걸음을 줄일 수 있음
2. eSIM으로 셀프 개통하기 (유심 재고 없는 경우)
- T월드 홈페이지 > T 디렉트숍 > USIM/eSIM 확인
- 내 휴대폰이 eSIM 지원하는지 확인
- '설정 → 일반 → 정보 → IMEI' 확인
- eSIM 셀프 개통 신청 (무료) → 와이파이 또는 친구 핫스팟 필요
3. 금융 피해 예방 – 여신거래 차단
- 카카오뱅크 앱 → 전체 → '여신' 검색 → 여신거래 안심차단 신청
- 개인대출 및 신용카드 개설 막기
- 해지 시에는 은행 방문 필요
4. 유심 보호 서비스 신청하기
- 통신사 앱 > 검색창에 '유심' 입력 → 유심 보호서비스 신청
- 무단 기기변경, 해외 로밍 사용 제한 가능
5. PASS 앱으로 본인 인증 보호
- PASS 앱 → 보안 → 명의도용방지 → 가입제한 설정 '전체'로 설정
- 접속자 많아 느릴 수 있음
6. 정보보호 알림이 서비스
- 통신사 앱 → '정보보호 알림이' 검색 → 무료 가입
- 보안 경보 및 침해 사고 발생 시 문자 알림 제공
7. 번호도용 문자 차단 서비스
- 통신사 앱 → '번호도용 문자서비스' 검색 → 신청 (무료)
8.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 엠세이퍼(www.msafer.or.kr) 에서 명의도용 방지 신청
9. 토스 안심차단 서비스
- 토스 > 전체 → 우측 상단 돋보기 클릭 → '안심차단 서비스' 검색
- 여신/수신 거래 차단 → 해제는 은행 방문 필요
10. 유심 교체 전에는 휴대폰 끄지 않기
- 해커가 휴대폰 꺼달라는 사칭 문자 발송
- 껐을 경우 복제 완료 가능성 ↑
- 문자/전화 수신 불가 시 의심해볼 필요 있음
11. 부모님처럼 설정이 어려운 경우
- 대리점 방문 시 휴대폰 번호와 생년월일만 알려드리면
- '유심 보호 서비스'는 대리점에서 대신 설정 가능
KT, LG U+는 괜찮을까요?
현재까지 KT나 LG U+에서 대규모 유심 해킹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사전 예방 조치는 꼭 필요합니다.
유심 보호 서비스와 eSIM 설정, PASS 앱 설정 등은 통신사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한국고용정보 해킹 사건 – 더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SKT 유심 해킹보다 더 심각한 사건도 발생했습니다.
KS 한국고용정보에서 22GB 분량의 내부 데이터가 유출되었고,
다크웹에서 약 15,000달러에 거래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유출된 정보 범위:
- 주민등록번호
- 운전면허증 사본
- 생년월일
- 주소, 이메일
- 전화번호
- 얼굴 사진
총 피해 인원 약 3만 6천 명 (현직 7천 명 + 퇴사자 2만 9천 명)
기업 관리자 계정까지 뚫렸고,
크롬에 저장된 비밀번호, 암호화폐 지갑 정보 등도 유출되었다고 합니다.
마무리하며
SKT 유심 해킹은 단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서, 일상적인 금융 보안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각종 보안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가짜 문자나 악성 링크에 속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KT, LG U+ 사용자도 안심하지 말고 동일한 조치를 사전에 취하시길 권장합니다.
나아가, 고용정보 유출처럼 기업 차원의 대형 보안 사고도 늘고 있으므로,
우리는 개인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예방 조치를 지금 바로 실천해야 합니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국민 무료 보험 (시민안전보험, 행복보험, 아동보험, 풍수해보험) (0) | 2022.09.08 |
---|---|
개명절차, 개명취지 양식 (0) | 2021.07.24 |
청년내일저축계좌 (0) | 2021.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