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흔히 머리로 하는 공부를 ‘지식을 쌓는다’,
몸으로 하는 공부를 ‘경험을 쌓는다’고 표현합니다.
이 두 가지는 우리 인생을 구성하는 중요한 축이며,
각각이 가진 특성과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삶을 보다 깊이 있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식: 머리로 쌓는 인식의 힘
지식은 수학 문제처럼 명확한 이론을 반복적으로 학습하거나,
여러 해법을 탐색하며 창의적 사고를 키우는 과정에서 쌓입니다.
국어와 같은 언어 과목은 논리적 사고뿐 아니라
화자의 생각을 추론하거나 결과를 유추하는 인문학적 사고를 요구합니다.
결국, 지식은 어떤 대상을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얻게 되는 인식과 이해입니다.
경험: 몸으로 체득하는 삶의 자산
경험은 직접 몸으로 부딪히며 얻는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처음 형광등을 갈아보는 일은 작은 일이지만
막상 해보면 두렵거나 망설여질 수 있습니다.
좋은 경험은 반복하고 싶어지고, 나쁜 경험은 피하고 싶어집니다.
육체적으로 힘든 경험은 자연스럽게 거부감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경험은 반복을 통해 습관이 되고,
습관은 인생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 자전거를 타다 보면 자연스럽게 균형을 익히게 되고,
- 욕설을 하면 욕설이 돌아온다는 사실을 배웁니다.
- 당구, 볼링, 골프도 처음은 어렵지만 반복할수록 실력이 향상됩니다.
지식과 경험의 한계
지식은 모든 상황을 이해할 수 없고,
경험은 모든 일을 직접 해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얻고,
공식을 외워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의 공식은 1 + 1 = 2처럼 분명합니다.
그러나 인간 사회의 공식은 수학보다 인문학에 가깝습니다.
- 좋은 말을 열 번 해도 돌아오지 않을 수 있고,
- 나쁜 말 한 마디가 수백 마디의 비난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관점, 다른 인생
우리의 생각과 타인의 생각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주입하려는 것,
이것이 바로 갈등의 시작입니다.
산을 오를 땐 앞만 보이지만,
산을 내려올 때는 풍경이 눈에 들어오듯
입장과 위치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달라집니다.
- 직원과 사장
- 부모와 자식
- 선생님과 학생
- 기술자와 교육자
- 일용직과 사무직
- 배달 알바와 폐지 줍는 어르신
이들은 각자의 환경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가고 있습니다.
진심 어린 조언이 상처가 되지 않으려면
우리는 때때로 누군가를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에
좋은 방법을 알려주고 싶어집니다.
하지만 그 사람이 그 방법을 전혀 모를 수도 있고,
한 번 시도했다가 큰 실패를 경험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조심스럽지 못한 조언은 상대방에게 도움이 아닌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 어쩌면 그건 업보일 수도 있고,
- 어쩌면 무지일 수도 있으며,
- 어쩌면 스트레스를 피하는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삶의 가치와 행복에 대하여
당신보다 어려운 환경의 사람을 무시하지 마세요.
당신보다 더 가진 사람을 부러워하지 마세요.
모든 사람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것만 가집니다.
- 돈도,
- 건강도,
- 행복도,
그 사람이 운용할 수 있을 만큼 주어지는 것입니다.
- 많은 돈을 원한다면, 돈을 관리할 능력부터 길러야 하고
- 건강을 원한다면, 꾸준한 운동과 관리가 필요하며
- 행복을 원한다면, 스스로의 행복 조건을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남의 돈이 내 돈이 될 수 없듯, 남의 행복도 내 행복이 될 수 없습니다.
당신의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가요?
삶의 가치는 스스로 찾는 것입니다.
당신의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가요?
당신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싶은가요?
'짧은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 조심 (0) | 2024.05.20 |
---|---|
부자 지인들이 돈을 빌려주지 않는 이유? (2) | 2023.09.03 |
놀면서 원하는 것을 바라지 마라. 계획하고, 실천하고, 보완해라 (0) | 2022.12.29 |
직장 생활 잘하는 법, 직장 상사 마음 잡는 방법 (0) | 2022.12.06 |
손톱 밑의 가시는 빼야 한다. 작은 신경 소모를 줄여야 한다. (2)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