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7 자본 레버리지, 인적 레버리지, 시간 레버리지 큰 자산을 이루려고 한다면 자본, 인적, 시간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 해야 한다. 레버리지는 크게 자본 레버지리, 인적 레버지리, 시간 레버리지로 나눠진다. 1. 자본 레버지리 주식의 경우 3배 추종 ETF도 될 수도 있고 부동산의 경우 담보 대출, 갭투자도 될 수 있다. 최소 자금으로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잘못된 접근으로 잘못된 레버리지는 독이 될 수도 있다. 코인 선물의 경우 100배 레버지지도 있지만 그건 도박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2. 인적 레버리지 혼자서 모든 걸 하려고 하기 보다 사람을 사서 자신의 일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자신의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수입은 들어오게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무인 아이스크림 사업을 직접 하면서 월 200만 원의 수입이 들어온다면 점장을 채용.. 2023. 3. 31.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창출하세요 1. 자본주의의 물건의 가치를 매기고 가치 판단을 하게 된다. 단순히 배추를 키워서 팔면 수익이 많이 않다. 배추 농사를 지을 땅도 있어야 하고 물도 줘야 하고 농약도 쳐야 한다. 수확할 때도 인건비가 들게되고 풍작이면 배춧값이 떨어지고, 흉작이면 손해도 보고 평년작이면 평균 수익이 될 수 밖에 없다. 위탁판매도 그 한계가 있습니다. 그냥 물건을 가져와서 쿠팡이나 스마트스토어에 올려서 수익을 창출하려면 엄청난 경쟁을 뚫어야 판매자 순위에 올라가고 매출이 상승이 된다. 투자 물건은 싸게 사야 한다. 부동산을 살 때에도 그냥 부동산에 나온 물건은 일반 소매점에서 물건 사는 것과 같다. 발품과 손품을 사서 급매로 사시는 방법도 있고, 경매를 배워 더 싸게 할인해서 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그 한계는 분명히 .. 2022. 12. 4. 투자에서는 자기의 걸음걸이를 바꾸기 어렵다. 1. 걷다보면 자신의 보폭과 보속이 일정하다는 것을 느낀다. 다른 사람과 동행하면서 얘기하다 보면 가끔 잊기도 하지만 상대적으로 빠르거나 느림을 느끼게 된다. 사람의 습관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평소 매일 반복되는 걸음걸이가 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바꾸려고 보폭을 늘려도 보고 보속도 뻐르게 해보지만 이내 포기하고 자신의 걸음걸이로 돌아가게 된다. 투자도 마찬가지 이다. 보통 예금과 적금을 주로 하지만 연금형 장기투자로의 투자와 일반 예금 적금과는 기간과 시간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많음으로 쉽게 접근을 하지 못하다. 연금저축계좌, IRP, ISA 등 다양한 상품이 있지만 언제까지 살지 모르는 불안감과 당장 먹고 살기에 어렵기에 젊은 나이에 접근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노령빈곤지수가 높은 우리나라의.. 2022. 9. 14. 경제적 자유 꿈만 꾸지 말고 실천을 해야 현실이 된다. 1. 워렌 버핏의 복리식 배당 투자 워렌버핏은 58세의 나이에 코카콜라 주식을 사서 92세인 지금은 투자 원금의 50%의 배당금으로 받고 있다. 약 34년의 기간과 복리의 마법을 이용하여 매년 10조의 배당을 받고 있고 투자하고 있다. 망하지 않을 기업을 선정하고 투자한 결과이다. 무배당 원칙, 비영리 재단 운영, 기부금 등으로 세금을 피한다는 논란도 있기도 하고, 죽어서 가지고 가질 못한 돈 저렇게 모아서 뭘 할꺼냐고 비아냥 대는 사람도 있지만 결국 부러워서 하는 말 아닌가 싶다. 2. 투자의 방법과 종류, 투자법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수익률을 고려하여야 한다. 단기적인 수익률을 보기엔 코인이나 3배 레버리지 ETF도 폭락시 투자하기엔 좋은 상품이지만 그 만큼 리스크가 크다. 초보자라면 예금, .. 2022. 9.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