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자산적 지출, 필요적 지출, 소비적 지출 시장경제에서는 수익과 지출이 일어난다. 지출은 여건과 환경과 개인의 수익에 따라 다양하다. 스노우 볼이 형성된 시점, 즉 수익이 지출을 넘어서서 스스로 자산이 축적되고 있는 자산가들은 지출에 큰 의미를 두지 않지만 자산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은 수익의 극대화 보다는 허리띠를 졸라 매는 지출의 통제가 우선이 될 수 밖에 없다. 지출을 줄여야 겠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일단 자산 증식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출을 줄이기 위한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다. 무조건 허리띠를 졸라 매는 경우도 있고, 알뜰폰을 쓰거나,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외식을 줄이던가 등등의 자신이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지출을 줄이려고 한다. 회계상에는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을 구분하지만 개인적으.. 2022. 8. 1.
월급 200만원으로 살아가는 방법 TV에 나오는 드라마는 현실이 아니다. 백마탄 왕자가 나에게 다가오는 것도 아니고 주변 지인들 페이스북, 인스타 등 SNS보면 호캉스에, 캠핑에, 유명 레스토랑 등 이것저것 자랑질에 나는 왜 저렇게 살지 못할까라고 푸념한다. 급여 200만원 받아서 세금떼고, 월세내고, 밥값에, 휴대폰비에, 공과잡비, 보험료, 경조사비, 교육비, 의류비,할부금 등등 내고 나면 월 20만원도 저금하기 어렵다. 돈을 모으고 싶고 생각한다면 마인드를 우선 바꿔야 한다. 지출을 우선으로 생각하지 말고 저축을 우선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다른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봐야 한다. 끊을건 과감하게 끊고 통장에 차곡차곡 쌓이는 돈을 보면서 기쁨과 희열을 느껴야 한다. 사람이 돈이고 대인관계가 중요하지만, 그것도 상대적인 .. 2022.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