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확증편향 사람들은 자신들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자신들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도 확증 편향이 있었다면, 기존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었다면 발견되지 못할 이론들있였다. 확증 편향을 가장 경계하는 것이 과학자들이고 많은 변수와 확률, 가정을 가지고 객관적인 실험과 연구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고 물질을 발견한다.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지식이 모두 맞다고 생각하고 정립된 자신의 뇌 속의 구조의 변화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우리가 흔히 좌파, 우파라고 말하는 정치적인 관점에서도 좌파 들은 'Daum' 을 우파 들은 'Naver'을 이용해서 검색을 많이 한다. 좌파 들은 '한겨레' '오마이뉴스' ''민중의 소리' 등 좌편향 된 신문을 많이 보고 우.. 2022. 8. 9.
자신을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한 방법 인간의 뇌의 기본 작동원리는 목표지향적으로 행동한다. 아래 내용은 카이스트 뇌과학 연구를 하시는 김대수 박사님이 말씀하신 내용이다. 1. 눈에 보이는 것을 따라가는 본능적 목표를 추구하는 것으로 본능에 따른다. 배고프면 먹고, 궁금하면 만져보고, 심심하면 놀거리를 찾는다. 이와같이 본능을 추구할 때는 의사결정과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하는 대뇌피질이 잠자게 된다. 잘못된 결과로 향할 수도 있다. 2. 대뇌피질을 훈려시키기 위해서 실패후 새로운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뇌의 근본 목표는 생존과 적응이다. 뭔가 시도후 실패하면 생존의 위협을 느낀다. 실패속에서 성공의 방법을 배우게 된다. 피드백을 통해 잘못된 점을 확인해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후 새로운 목표에 재도전을 하게 되고 성장을 하.. 2022.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