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사업관리(CM)/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리딩 이란? 원인과 대책 방법 총정리

by 착한호랑이 2025. 2. 22.

콘크리트 블리딩(Bleeding) 이란?

  • 블리딩(Bleeding)은 콘크리트 타설 후 물과 고형분(시멘트, 골재 등)이 분리되면서, 물(Water)이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 즉, 콘크리트 블리딩(Bleeding)은 타설 후 물이 표면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과 시멘트 입자의 분리가 발생하면서 나타납니다.
  • 특히 물-시멘트 비(W/C 비)가 높을 때 또는 다짐이 불충분할 때 더 두드러집니다.
  • 블리딩이 심하면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1. 블리딩 발생 원인

   가. 재료 분리 – 시멘트 입자와 골재가 침강하면서 물이 위로 떠오름.

   나. 물-시멘트비(W/C) 과다 – 물이 많으면 내부에서 분리 현상이 증가함.

   다. 다짐 부족 – 충분한 다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블리딩이 심해질 가능성이 큼.

   라. 다짐 과다 -  다짐이 과할 경우 과도한 진동으로 물이 표면으로 올라옴.

   마. 골재 입자 크기 – 미세 골재가 부족하면 블리딩 증가 가능.

   바. 시공환경 - 온도가 높으면 수화반응이 빨리 일어나 블리딩이 빨리 진행

   사.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르고 타설 높이가 놓을수록 많이 일어남

   아. 부재의 단면이 클고,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클수록 많이 일어남

 


2. 블리딩이 미치는 영향

콘크리트 강도 저하 물이 많아지면서 수화 반응 후 강도가 낮아질 수 있음.
부착강도 저하 철근하부의 수막현상 및 상부의 균열로 철근과 콘크리트 부착강도 저하
균열 발생 가능성 표면에 물이 고이면서 수축 균열(플라스틱 수축균열)이 생길 가능성 증가.
층 분리(재료 분리)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가 분리되면서 구조적 약점 형성.
마감 품질 저하 표면에 물이 고여 마감 후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음.

3. 블리딩 방지 대책

적절한 물-시멘트비(W/C) 유지 물이 많으면 블리딩이 심해지므로 적정 비율 유지.
혼화제 사용 적절한 혼화제 사용으로 블리딩 예방 
 - 감수제
: 같은 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

 - AE제(공기 연행제): 블리딩을 줄이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킴.
세심한 다짐 작업 과도한 다짐은 블리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다짐 필요.
 - 불충분한 다짐 → 블리딩 증가
 -
과도한 다짐 → 수분이 표면으로 몰림
적절한 골재 배합 미세 골재 함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블리딩 최소화.
 - 미세 골재(모래)의 비율이 너무 적으면 블리딩 증가.
 - 적절한 입도 분포(굵은 골재 + 미세 골재 혼합) 유지 필요.
거푸집 배수 관리 표면에 고인 물을 적절히 제거하여 품질 유지.
 - 블리딩으로 인해 표면에 물이 고이면, 제거 후 마감해야 함.
 - 거푸집 내부 물 배수 관리.

4. 결론

  • 블리딩은 콘크리트 품질과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상입니다.
  • 그러므로 적절한 배합 설계와 시공 관리가 중요합니다.
  • 특히 물-시멘트 비 조절, 혼화제 사용, 다짐 및 양생 관리가 핵심 대책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