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사업관리(CM)/마감공사

건축물의 백화 현상 발생 원인과 방지 대책

by 착한호랑이 2025. 1. 23.

건축물의 백화 현상 발생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백화현상 일반사항

1. 백화 발생의 환경 조건

  • 그늘진 북측면
  • 우기 등 습기가 많을 때
  • 기온이 낮을 경우

 

2. 백화의 종류

  • 1차백화 : 혼합수 중에 용해된 가용 성분이 시멘트경화제의 표면 건조에 의해 수분이 증발함으로 발생
  • 2차백화 : 건조된 시멘트 경화제에 우수, 지하수 등이 침입하여 건조됨에 따라 시멘트 경화제 내의 가용 성분이 용출하여 백화 발생

 

 

▷백화현상 발생 원인

 

1. 설계의 미비

  • 기초 부등 침하

   - 지질 조사에 의한 기초 형식 불량

   - 지내력 확보 미비

   - 동결심도, 이질 기초에 따른 건물 자중 배치의 부적합

 

  • 우수처리미비

   - 파라펫 상부, 창대, 차양 등의 방수 처리 미비

   - 빗물이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경우

 

  • 접합부위

   - 벽과 기둥 및 보의 연결부위 균열 발생

   - 미장전 메탈라스 미설치

 

2. 재료의 결함

  • 시멘트

   - 시멘트 중의 가용성분인 CaO가 물에 녹아 증발되면서 발생

   - Ca(OH)2+CO2→CaCo3+H2O ☞ 수분이 침투 되므로 백화가 발생

  • 골재

   - 가용성 물질인 염류나 불순물 포함시

   - 흡수율이 많은 골재 사용시

   -  물의 과다 사용 및 불순물 포함

  • 혼화재료

   - 적정하지 못한 혼화제 사용

   - 백화 억제제의 사용간 시방서 미준수

 

3. 시공불량

  • 바닥구조체

   - 이어치기 시공의 부정확 시공

   - 물시멘트비 과다

  • 모르타르

   - 배합과 비빔의 부족

   - 강도와 W/C가 적정하지 않음

  • 줄눈시공

   - 쌓기후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서 시공한 경우

   - 통줄눈 시공으로 우수의 통로가 될 경우

  • 양생

   - 모르타르가 굳기전에 큰 압력을 가할 경우

   - 모서리, 개구부 등의 보양이 불량한 경우

  • 기후 미고려 시공

   - 비가 오거나 눈이 올 떄의 작업 강행

   - 양생중에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 백화현상 방지대책

 

1. 설계상 대책

  • 균열방지

   - 기초의 부실로 인한 부등침하 방지

   - 건물 자중을 균등히 배치하고, 개구부 보강 실시

   - 접합부위의 밀실시공 및 앙커 처리

  • 빗물처리

   - 처마, 창대, 차양 등에 물끊기 홈 설치

   - 파라펫 상부, 케노피 등의 방수처리 철저히 시행

 

2. 재료상 대책

  • 벽돌

   - 소요강도의 흡수율 및 품질이 확보 된 것일 것

      : 1급 압축강도 150이상, 흡수율 20이하

      : 2급 압축강도 100이상, 흡수율 23이하

  • 골재

   - 당분, 염화물 등 가용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골재

   - 흡수율이 적은 골재

   - 바다 모래는 가용성 염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 사용 금지

  • 혼화제 : 백화 억제제 및 감수제 사용

3. 시공상 대책

  • 콘크리트 구조체

   - 이어치기 불량 방지 대책으로 Lap bar 설치

   - W/C비를 적게하여 밀실하게 처리

  • 모르타르

   - 강도는 벽돌 강도 이상

   - 물비빔후 1시간 이내 사용

   - 적정한 배합 강도 유지


▷ 백화 제거 방법

  • 1단계 : 건조후 브러쉬, 마른 솔로 염분 제거
  • 2단계 : 깨끗한 물로 세척후 건조
  • 3단계 : 염산 희석액(염산:물=1:9)으로 세척 후 닦아 냄
  • 4단계 : 건조후 방수제를 도포하여 물 침입 방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