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백화 현상 발생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백화현상 일반사항
1. 백화 발생의 환경 조건
- 그늘진 북측면
- 우기 등 습기가 많을 때
- 기온이 낮을 경우
2. 백화의 종류
- 1차백화 : 혼합수 중에 용해된 가용 성분이 시멘트경화제의 표면 건조에 의해 수분이 증발함으로 발생
- 2차백화 : 건조된 시멘트 경화제에 우수, 지하수 등이 침입하여 건조됨에 따라 시멘트 경화제 내의 가용 성분이 용출하여 백화 발생
▷백화현상 발생 원인
1. 설계의 미비
- 기초 부등 침하
- 지질 조사에 의한 기초 형식 불량
- 지내력 확보 미비
- 동결심도, 이질 기초에 따른 건물 자중 배치의 부적합
- 우수처리미비
- 파라펫 상부, 창대, 차양 등의 방수 처리 미비
- 빗물이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경우
- 접합부위
- 벽과 기둥 및 보의 연결부위 균열 발생
- 미장전 메탈라스 미설치
2. 재료의 결함
- 시멘트
- 시멘트 중의 가용성분인 CaO가 물에 녹아 증발되면서 발생
- Ca(OH)2+CO2→CaCo3+H2O ☞ 수분이 침투 되므로 백화가 발생
- 골재
- 가용성 물질인 염류나 불순물 포함시
- 흡수율이 많은 골재 사용시
- 물
- 물의 과다 사용 및 불순물 포함
- 혼화재료
- 적정하지 못한 혼화제 사용
- 백화 억제제의 사용간 시방서 미준수
3. 시공불량
- 바닥구조체
- 이어치기 시공의 부정확 시공
- 물시멘트비 과다
- 모르타르
- 배합과 비빔의 부족
- 강도와 W/C가 적정하지 않음
- 줄눈시공
- 쌓기후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서 시공한 경우
- 통줄눈 시공으로 우수의 통로가 될 경우
- 양생
- 모르타르가 굳기전에 큰 압력을 가할 경우
- 모서리, 개구부 등의 보양이 불량한 경우
- 기후 미고려 시공
- 비가 오거나 눈이 올 떄의 작업 강행
- 양생중에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 백화현상 방지대책
1. 설계상 대책
- 균열방지
- 기초의 부실로 인한 부등침하 방지
- 건물 자중을 균등히 배치하고, 개구부 보강 실시
- 접합부위의 밀실시공 및 앙커 처리
- 빗물처리
- 처마, 창대, 차양 등에 물끊기 홈 설치
- 파라펫 상부, 케노피 등의 방수처리 철저히 시행
2. 재료상 대책
- 벽돌
- 소요강도의 흡수율 및 품질이 확보 된 것일 것
: 1급 압축강도 150이상, 흡수율 20이하
: 2급 압축강도 100이상, 흡수율 23이하
- 골재
- 당분, 염화물 등 가용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골재
- 흡수율이 적은 골재
- 바다 모래는 가용성 염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 사용 금지
- 혼화제 : 백화 억제제 및 감수제 사용
3. 시공상 대책
- 콘크리트 구조체
- 이어치기 불량 방지 대책으로 Lap bar 설치
- W/C비를 적게하여 밀실하게 처리
- 모르타르
- 강도는 벽돌 강도 이상
- 물비빔후 1시간 이내 사용
- 적정한 배합 강도 유지
▷ 백화 제거 방법
- 1단계 : 건조후 브러쉬, 마른 솔로 염분 제거
- 2단계 : 깨끗한 물로 세척후 건조
- 3단계 : 염산 희석액(염산:물=1:9)으로 세척 후 닦아 냄
- 4단계 : 건조후 방수제를 도포하여 물 침입 방지
'건설사업관리(CM) > 마감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부도장, 분체도장, 전착도장, 불소수지도장 의 장단점 및 특징 비교 (0) | 2025.02.28 |
---|
댓글